본문 바로가기
HEALTH

탈모에 관한 A to Z

by 날아라퀵 2022. 7. 21.
728x90
반응형

요즘 거울을 보면서 느끼는 제 머리의 빈 공간은 비단 저만의 고민일까요?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나이를 가리지 않고, 많은 사람들의 감추고 싶은 비밀 내 머리의 빈 공간 바로 탈모입니다. 적을 알아야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할 수 습니다. 탈모에 대한 원인, 증상 그리고 치료법과 예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탈모의 정의

탈모는 비정상적으로 머리카락이 많이 빠져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 머리숱이 적어지는 상태, 머리가 부분적으로 빠져 대머리가 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탈모로 인하여 진행되는 머리의 상태를 탈모증이라고 하는데 원형탈모증, 안드로겐 탈모증(여성형 탈모증, 남성형 탈모증) 등이 있습니다.

  • 원형탈모증 - 피부과 방문환자의 약 2%를 차지할 정도로 매우 흔한 질환입니다. 보통 원형 모양으로 모발이 빠지는 증상을 말합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는 두피 전체의 모발이 빠지기도 하며, 두피를 포함하여 눈썹, 속눈썹, 음모, 체모가 빠질 수도 있습니다. 머리카락 전체가 빠지는 경우 전두 탈모증, 전신의 털이 빠지는 경우 전신 탈모증으로 구분합니다.
  • 안드로겐 탈모증 - 모낭 및 모발이 점차 소형화되면서 머리카락이 솜털처럼 짧고 가늘게 변하여 탈모가 진행됩니다. 남녀 모두에게 발생하며 가장 잘 알려진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과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입니다.
안드로겐 탈모 남성형탈모 여성형탈모
특징 앞쪽 모발이 빠지면서 헤어라인의 후퇴가 일어나고, 질병이 진행되면서 정수리 부문역시 빠지게 됩니다. 뒤쪽 모발과 측면 모발이 유지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버지가 안드로겐 탈모의 경우 아들도 같은 증상이 나타날 확률이 높습니다.
앞쪽 헤어라인은 유지가 되며, 정수리와 측면의 모발이 얇아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탈모의 원인

탈모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유전적 요인, 자가면역질환, 환경적 요인 등을 이야기합니다.

  1. 유전적 요인 - 앞서 안드로겐 남성형 탈모의 특징처럼 탈모는 유전적인 요인이 작용합니다. 명확한 이유가 밝혀진 것은 아니나 원형탈모의 경우 20~30프로의 환자가 가족력의 영향을 받고 있음이 나타났습니다.
  2. 자가면역질환 - 인체에 세균과 같은 이물질들의 침입으로 인하여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우리 몸은 항체라는 단백질을 생성하게 됩니다. 이 항체가 외부 이물질들을 공격함으로써 나타는 면역반응 중 하나가 바로 자가면역질환입니다. 그런데 모발의 일부분을 이물질로 인식하여 면역 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모발을 공격하여 모발이 빠지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3. 환경인자 - 탈모가 스트레스와 관련되어있다는 말들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스트레스가 탈모의 주된 원인은 아니지만, 큰 정신적인 충격이나 스트레스가 관련이 될 수는 있습니다.

 

 

반응형

 

 

탈모의 치료

  1. 안드로겐 탈모 - 미녹시딜 등의 바르는 약, 피나스테라이드 등의 먹는 약, 모발 이식술 등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바르는 약의 경우 2-3개월 이내에 잔털이 늘어나지만, 탈모가 많이 진행이 된 경우에는 다른 치료법과 함께 진행합니다. 먹는 약은 바르는 약에 비해 효과가 좋은 편입니다. 하지만 여성의 경우 증상의 진행 상태나 임신 계획에 따라 의사와 상의해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탈모가 많이 진행되어 약을 복용하여도 반응이 없는 상태는 모발 이식술 등이 진행됩니다.
  2. 원형탈모 - 국소 스테로이드 제제나 전신 스테로이드 제제, 면역 요법 등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원형탈모의 경우 자가면역질환으로 일어나는 경우 갑상선 질환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원형탈모의 경우 자가면역질환이 있는지 검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탈모의 예방

현재 의학적으로 입증된 탈모 예방법은 없습니다. 시중에 판매되는 탈모 관련 제품들 역시 탈모가 입증되지 않은 것들이 많습니다. 그러므로 자신의 증상과 원인을 찾아 적절한 치료방법으로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숭이두창 보건비상사태 선언하나?  (0) 2022.07.21
관절염에 좋은 식품  (0) 2022.07.19

댓글